본문 바로가기

공공데이터

공공데이터 포털 서비스 국민이면 누구나 함께 이용할 수 있다. 공공데이터는 개방 의미를 내포

"나누자 데이터, 누리자 행복" "공공데이터 주인은 국민" 공공데이터 포털서비스
(공공데이터 보유 및 개방안내)

공공데이터 제공 책임관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12조)

공공데이터 제공 책임관에 대한 표 - 구분, 직위, 성명, 전화번호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분 직위 성명 전화번호
공공데이터제공 책임관 자치행정국장 박헌국 031-538-2012
공공데이터제공 실무담당자 주무관 차희승 031-538-2083

공공데이터 개방이란?

공공데이터 정의

데이터베이스, 전자화된 파일 등 공공기관이 법령 등에서 정하는 목적을 위하여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광(光) 또는전자적 방식으로 처리된자료 또는 정보

개방의미

공공기관이 이용자에게 정보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제공받은 정보를 상업적·비영리적으로 이용할 권한을 부여하는 것

개방의미에 대한 표 - 구분, 공개(정보공개법), 개방·제공 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분 공개(정보공개법) 개방·제공
목적 국민 알권리 충족과 행정 투명성 제고 공공정보의 민간 활용을 통한 국민편의 향상,
신규 비즈니스 및 일자리 창출
대사예시 기관장 업무추진비, 출장내역 등 실시간 교통정보, 날씨정보, 위해식품정보, 관광정보 등
공공데이터 개방 중요성(공공데이터기반 시장성장, 공공데이터 재이용급증, 공공데이터 주인은 국민, 공공데이터 고부가가치 공공재, 나눔재, 공공데이터 기반 서비스확대) 공공데이터 개방은 일자리 창출과 경제활성화의 새로운 Key

공공데이터 개방 중요성

공공데이터 개방은 일자리 창출과 경제활성화의 새로운 Key

  • 공공데이터 기반 시장성장
  • 공공데이터 재이용급증
  • 공공데이터 주인은 국민
  • 공공데이터 고부가가치 공공재, 나눔재
  • 공공데이터 기반 서비스확대

공공데이터 개방 전략

개방전략

  • 공공데이터를 자유롭게 재이용 하도록 허락
  • 누구나 활용 및 융복합하여 가상재화나 서비스를 생산, 이익 창출
  • 국민 삶의 질 제고와 신산업,일자리 창출로 경제 활성화에 기여
  • 공공데이터 범위
    • 공공기관이 직무상 전자적 방식으로 처리 · 작성 · 처리해 관리하는 정보나 데이터
    • 예) 지리, 기상, 해양, 환경, 경제, 인구, 교통, 관광 · 레저, 농림 · 수산, 범죄, 특허, 과학 · 연구, 학술 · 논문 등
  • 공공데이터 제공
    • 공공기관이 이용자로 하여금 기계 판독이 가능한 형태의 접근 및 이용 할 수 있게 공공데이터를 구축하여 제공
    • 기계 판독 가능한 형태 (MACHINE-READABLE) : 소프트웨어로 데이터의 개별 내용 또는 내부구조를 확인하거나 수정, 변환, 추출 등 가공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 제공 제외대상
    • 「정보공개법」에 따른 비공개 대상 (국가안보 정보, 개인정보 등)
    • 제3자가 권리가 포함된 것으로서, 정당한 이용허락을 받지 않은 정보나 데이터
    •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는 제외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